Bibeln

 

Psalms 23 : The 23rd Psalm

Studie

1 The LORD is my shepherd; I shall not want.

2 He maketh me to lie down in green pastures: he leadeth me beside the still waters.

3 He restoreth my soul: he leadeth me in the paths of righteousness for his name's sake.

4 Yea, though I walk through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I will fear no evil: for thou art with me; thy rod and thy staff they comfort me.

5 Thou preparest a table before me in the presence of mine enemies: thou anointest my head with oil; my cup runneth over.

6 Surely goodness and mercy shall follow me all the days of my life: and I will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 for ever.

Kommentar

 

시편 23 편

Av Brian David (maskinöversatt till 한국어)

The Lord as Shepherd, by Nana Schnarr

시편 23편은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사랑받는 문학 작품 중 하나이며, 지금까지 쓰여진 시 중 최고의 시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비유적 언어의 힘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친절한 목자가 푸른 초장과 좋은 물로 인도하는 양이 된 우리 자신의 모습을 통해 깊은 것을 읽어냅니다.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두려움 없이 나아갈 수 있는 자신감과 주님이 차려주신 식탁과 넘치도록 가득 찬 잔의 사랑과 배려를 느낄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모르는 것은 이 언어가 실제로 정확한 내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그것을 볼 때 시에는 더 깊은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이 시가 실제로 묘사하는 것은 천국으로 가는 길이며, 우리를 천국으로 인도하려는 주님의 강렬한 열망이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단계는 주님을 우리의 목자로 모시고 그분의 가르침과 리더십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푸른 초원과 잔잔한 물은 그분이 여정에서 우리에게 가르치실 것들을 상징합니다. 그런 다음 주님은 우리 안에서 일하기 시작하여 우리의 영적인 삶을 질서 있게 정돈하여 우리가 선한 일을 행하고 서로 사랑하기를 원하도록 하십니다. 그것은 우리의 영혼을 회복시키고 우리를 의의 길로 인도하는 것으로 표현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도전에 직면할 것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세상 밖에서 외적인 삶을 살고 있으며, 그 외적인 삶, 육체적인 삶에서 일어나는 욕망의 지배를 받습니다. 그것이 바로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입니다. 그러나 지팡이와 지팡이는 외적, 내적 차원에서 주님이 주시는 진리, 즉 그러한 욕망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사상을 상징합니다.

우리가 계속 따를 때 주님은 우리 안에 사랑(기름부음)과 지혜(넘치도록 잔)로 채울 수 있는 식탁을 준비해 주실 것입니다. 이렇게 변화된 우리는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선")과 주님의 사랑("자비")으로 천국에 들어갈 수 있으며, 영원히 사랑하고 사랑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의 많은 아름다운 점 중 하나는 모든 일을 실제로 행하시는 분이 주님이라는 사실입니다. 본문 전체에서 양들이 취한 유일한 행동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걸어가는 것뿐입니다. 그 외에는 주님을 따르고, 주님을 신뢰하고, 주님의 축복을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정말 사실입니다! 외적인 상태(골짜기)에서는 우리가 스스로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내적으로는 영적으로 우리 자신을 주님께 드리고 주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시도록 내버려두면 됩니다.

여기서 근본적인 생각은 주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도록 우리를 창조하셨고, 우리를 사랑하시면서 우리가 행복하기를 원하시며, 우리의 가장 큰 행복은 천국에서 그분과 결합하는 것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고 계시며, 그분 자신도 우리와 결합하는 것 이상을 원하지 않으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분께서 지구상의 모든 사람을 위해 매일 매 순간 행하시는 모든 일은 그 사람을 천국에 데려가려는 목표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분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천국에 가기를 원하십니다. 우리는 협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Referenser: Apocalypse Explained 375 [34], 727 [2]; The Inner Meaning of the Prophets and Psalms 273)

Från Swedenborgs verk

 

Arcana Coelestia #6077

Studera detta avsnitt

  
/ 10837  
  

6077. 'We have come to sojourn in the land' means a seeking to live in factual knowledge. This is clear from the meaning of 'sojourning' as receiving instruction, and also living, dealt with in 1467, 2025, so that 'coming to sojourn' means a seeking to live; and from the meaning of 'the land', in this case the land of Egypt, as the place where factual knowledge exists, and so as factual knowledge itself (it has been shown quite a number of times that 'Egypt' means factual knowledge). As to the idea that the life of truth exists within factual knowledge or that truths seek to live in factual knowledg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ll things in the spiritual world, and consequently all those in the natural world, seek something beyond themselves in which they can exist, acting as the cause within the effect, to the end that they may be producing something constantly. That something beyond them is so to speak the body, and what seeks to exist within it is so to speak the soul. This endeavour comes to an end only in the lowest aspects of the natural order in which inert substances occur. In the natural world this can be seen in specific examples; and it can also be seen in the spiritual world, in that there good seeks to live in truths, truths seek to live in factual knowledge, factual knowledge to live in sensory impressions, and sensory impressions in the world.

[2] As regards the specific matter of the presence of truths within factual knowledg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nterior truths can indeed be introduced into factual knowledge; but those truths do not have life until good exists within them. Good has life in it, but truths receive theirs from good; thus factual knowledge receives its life from good through truths. Good is in that case a kind of soul for truths, and through truths for factual knowledge, which is a kind of body. In short, charity towards the neighbour gives faith its life and soul, and through faith gives them to factual knowledge belonging to the natural mind.

[3] At the present day there are few who know that truths are distinct and separate from factual knowledg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ruths of faith which are rooted in charity exist with only few, and truths of faith that have no charity in them are no more than factual knowledge since they exist in the memory, no different from anything else there. But when truths of faith are rooted in charity, that is, have charity within them, they make themselves clearly distinct and separate from factual knowledge. Sometimes they lift themselves above it, in which case they look down on factual knowledge below them. This may be seen primarily from a person's state after death. In that state he can think and speak in a rational manner about the truths and goods of faith, and in a far more clear-sighted way than during his lifetime; yet he cannot draw out any factual knowledge from his memory. That knowledge exists with him as things that lie forgotten and removed from sight, even though he retains it all, see 2475-2477, 2479, 2480-2486. From this it may be seen that the truths of faith, which are essentially spiritual, are distinct and separate from factual knowledge, which is essentially natural, and that the truths of faith are lifted up from factual knowledge towards heaven by means of an affection for the good of charity.

  
/ 10837  
  

Thanks to the Swedenborg Society for the permission to use this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