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 Swedenborgových děl

 

요한 계시록 풀이 # 367

Prostudujte si tuto pasáž

  
/ 962  
  

367. "흰 옷을 입고 손에 종려가지를 들고"는 보다 높은 천국과의 유무상통(有無相通)과 결합 및 신성한 진리로 말미암은 고백을 뜻한다.

"흰옷을 입고"가 천국과의 유무상통과 결합을 갖는 것을 뜻하는 것은 위 328를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손에 종려가지를 들고"가 신성한 진리로 말미암은 고백을 뜻하는 것은 "종려가지"가 신성한 진리를 뜻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모든 나무는 교회에 관한 어떠한 것을 뜻하며, "종려가지"는 말단의 신성한 진리 곧 말씀의 글자의 뜻에 속한 신성한 진리를 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예루살렘 전 안팎 사면 벽과 문짝까지도 모두 그룹들과 종려를 아로새겼고(열왕기상 6:29, 32), 이것은 에스겔 41:18-20에 기재되어 있는 새 성전 안에 있는 것도 같다. "그룹"은 말씀을 뜻하며 (239), "종려"는 그 안에 있는 신성한 진리를 뜻한다. "종려"가 말씀의 신성한 진리를 뜻하며, "손 안에 쥐인 종려가지"가 거기서 나온 고백을 뜻하는 것은 아래와 같이 명령한 것으로 분명할 것이다.

"장막 절기에 너희는 아름다운 나무 실과와 종려가지를 취하여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할 것이라"(레위기 23:39-40)

"예수께서 명절에 예루살렘에 오실 때 무리가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맞으러 나가 외치되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하더라"(요한복음 12:12-13)

이것은 주께 대한 신성한 진리로 말미암은 고백을 뜻한다. "종려"는 시편에서도 신성한 진리를 뜻한다.

"의인은 종려나무 같이 번성하며 여호와의 집에 심겼음이여 우리 하나님의 궁정에서 흥왕하리로다"(시편 92:12-13)

다른 곳에서도 이와 같다. 왜냐하면, 여리고는 요단 가까운 성이었고, "요단 강"은 교회의 처음 가는 것을 뜻하였다. 이것은 말씀의 글자의 뜻 안에 있는 것과 같은 신성한 진리이다. 그러므로 여리고를 "종려나무 성읍"이라 말하였던 것이다(신명기 34:3; 사사기 1:16; 3:13). 왜냐하면, 요단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첫째 변두리 또는 관문이며, 가나안 땅은 교회를 뜻하기 때문이다.

  
/ 962  
  

Ze Swedenborgových děl

 

요한 계시록 풀이 # 328

Prostudujte si tuto pasáž

  
/ 962  
  

328. 6:11 "각각 저희에게 흰 두루마기를 주시며 가라사대 아직 잠시 동안 쉬되 저희 동무 종들과 형제들도 자기처럼 죽임을 받아 그 수가 차기까지 하라 하시더라"

"각각 저희에게 흰 두루마기를 주시며 가라사대"는 성도들에게 신성한 진리 안에 있는 천사들과 더불어 유무상통(有無相通)하고 결합하게 되는 것을 뜻한다.

"두루마기"는 진리를 뜻하며 (166), "흰 두루마기"는 순수한 진리를 뜻한다(212). "두루마기"가 이러한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은 천국에 있는 모든 천사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진리에 따라서 옷을 입으며 또 각자는 천사의 사회와의 결합에 의하여 옷 입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합이 허락되면 그들은 곧 같은 모습으로 옷 입고 나타난다. 이로써 "그들의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흰 옷이 주어졌다"는 것은 그들에게 신성한 진리 안에 있는 천사들과 더불어 유무상통하고 결합하게 되는 것을 뜻하는 것이 분명하다. "두루마기", "외투"및 "겉옷"이 일반적 진리를 뜻하는 것은 이것들이 일반적 덮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물건에 대한 이 뜻을 아는 사람은 아래의 구절들 안에 들어있는 깊은 뜻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엘리야가 엘리사를 만나니 겉옷을 그의 위에 던지더라"(열왕기상 19:19)

"엘리야가 겉옷을 취하여 말아 강물을 치며 물이 이리저리 갈라지고"(열왕기상 2:8)

"엘리사도 이같이 한지라"(열왕기하 2:14)

"엘리야가 승천할 때 그의 몸에서 떨어진 겉옷을 엘리사가 주어가지고"(열왕기하 2:12-13)

왜냐하면 엘리사와 엘리야는 말씀으로서의 주를 표상하며 이에 따라서 그들의 "겉옷"은 일반적으로 말씀의 신성한 진리를 뜻하기 때문이다. 이같이 "에봇"도 같은 것을 뜻한다.

"아론의 에봇의 겉옷은 가장자리로 돌아가며 청색, 자색 실로 수놓고 금방울을 달며"(출애굽기 28:31-35)

이것이 일반적으로 신성한 진리를 뜻하는 것은 런던 판 <천국의 신비 9825>를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구절에 있는 "겉옷"과 "외투"도 같은 것을 뜻한다.

"바다의 모든 왕이 그 보좌에서 내려 수놓은 옷을 버리고"(에스겔 26:16)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사람에게 보이고자 겉옷(옷 술)의 가장자리를 넓게 하고(마태복음 23:5), 내 백성이 두루마기를 인하여 대적이 되어 지나가는 자들의 겉옷을 벗기며(미가 2:8 그밖의 여러 곳에서도).

  
/ 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