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성경에서는 누가 구원받는다고 할까요?

작가: John Odhner (기계 번역 한국어)

Christ the Redeemer statue in Rio de Janeiro, aerial view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판단을 내리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파벌에서 나타납니다. 인기 있는 몇몇 아이들이 한 그룹에 들어가면 점차 자신들이 더 좋아하기 때문에 다른 아이들보다 낫다고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끼지 못한' 아이들은 동정이나 경멸의 대상이 되거나 심지어 잔인한 농담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파벌은 다른 사람들을 하위 계층의 인간으로 미묘한 판단을 내립니다.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경향은 다양한 종교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일부 종교 집단은 자기중심적이어서 다른 신앙을 가진 사람은 천국에 갈 수 없다고 믿습니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이런 태도는 속물적인 10대 파벌보다 훨씬 더 잔인합니다.

성경의 가르침은 이와는 상당히 대조적입니다. 우선, 하나님의 말씀에 따르면 우리는 사람들을 "구원받은 사람" 또는 "죄인"으로 분류해서는 안 된다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너희가 정죄받지 않도록 판단하지 말라.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생각지 않느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마태 복음 7:1, 3)

제자 야고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구원할 수도 있고 멸망시킬 수도 있는 한 분의 율법 제정자가 계십니다. 네가 어찌 다른 사람을 판단하겠느냐?" (야고보서 4:1)

주님이 지상에 계실 때 교회 지도자들 사이에는 판단하는 태도가 만연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메시아가 오시면 유대인만 구원하고 다른 사람은 구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예수님이 오셨을 때 그들은 유대인이 아닌 사람과 유대인 모두와 어울린다고 정죄했습니다.

예수님은 이런 태도를 경계하셨습니다. 한번은 예수님께서 자신은 구원받았고 다른 사람들은 구원받지 못했다고 "스스로 믿는" 사람들과 대화하고 계셨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에게 두 가지 기도를 생각해 보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 제가 다른 사람과 같지 않음을 감사합니다."와 "하나님, 죄인인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입니다. 예수님은 자신이 죄인이라고 생각한 사람을 칭찬하셨습니다. (누가 복음 18:9-14)

자신을 구원받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죄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길가에서 부상당한 사람을 돕기 위해 멈춰 섰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이 사마리아인은 (유대인의 관점에서 볼 때) "잘못된" 신앙을 가지고 있었지만, 예수님은 그 사마리아인이 선한 사람이기 때문에 이웃으로서 사랑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사실 예수님은 영생을 원하는 사람은 이 사마리아인과 같아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누가 복음 10:29-37), 사마리아인은 기독교인도 유대인도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예수님은 어떤 교회에 속해 있는지가 아니라 그 사람의 마음속에 무엇이 있는지를 보셨고, 지금도 보고 계십니다.

성경은 천국에 갈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은 단순히 무엇을 믿는지가 아니라 그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분명히 말합니다. 예수님은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마태 복음 7:21)

다시 말하지만, "그는 각자에게 그의 행위대로 갚아 주실 것입니다." (마태 복음 16:27)

""선을 행한 자는 생명의 부활로, 악을 행한 자는 정죄의 부활로" 갈 것이라고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요한 복음 5:29)

신앙뿐만 아니라 사람의 삶이 영원한 제비를 결정하기 때문에 예수님은 많은 기독교인이 악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구원받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하셨습니다.

"그 날에 많은 사람이 내게 이르되, '주님, 주님, 우리가 주의 이름으로 선지자 노릇하며 주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주의 이름으로 많은 권능을 행하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리라. 그러면 나는 그들에게 '나는 너희를 알지 못하였으니 불법을 행하는 자들아, 내게서 떠나가라'고 선언할 것이다." (마태 복음 7:22-23, 누가 복음 13:25-27)

비기독교인이 구원받을 수 있는 한 가지 이유는 이웃을 사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웃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비록 깨닫지 못할지라도 그리스도도 사랑합니다. 예수님은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마태 복음 25:40)

이웃에 대한 사랑이 없는 예수님에 대한 믿음은 무의미합니다.

"내가 모든 믿음이 있어 산을 옮길 수 있어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요." (1 고린도전서 13:2)

반면에 진정한 사랑은 겉으로 고백하는 종교와 상관없이 마음속으로 주님을 알고 있다는 표시입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믿는다." (1 고린도전서 13:7)

"선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한 자이지만 악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을 보지 못했습니다." (3 요한 복음 1:11)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므로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나 하나님으로부터 나서 하나님을 알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니 사랑 안에 거하는 사람은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 안에 거하십니다." (1 요한 복음 4:7-11)

요약:

일부 기독교 교회에서는 이렇게 가르칩니다: 오직 기독교인만이 구원받는다.

성경이 실제로 말하는 것(그리고 새로운 기독교 교회가 가르치는 것)입니다: 모든 종교의 선한 사람들은 구원을 받습니다.

신그리스도교회의 가르침에서 인용한 몇 가지 참고 자료 : 천국과 지옥 318-328, 주님의 신성한 섭리 326

이 유용한 사이트의 저자 John Odhner의 허락을 받아 사용: http://whatthebiblesays.info/Introduction.html

비디오 재생
The "Big Spiritual Questions" videos are produced by the General Church of the New Jerusalem. Link: newchurch.org

성경

 

누가복음 13:26

공부

       

26 그 때에 너희가 말하되 우리는 주 앞에서 먹고 마셨으며 주는 또한 우리 길거리에서 가르치셨나이다 하나

스웨덴보그의 저서에서

 

하나님의 섭리 #254

해당 구절 연구하기

  
/ 340  
  

254. Ⅰ. 자연인에 지나지 않은 사람은 하나님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해와 달을 예배하는 사람이 있고, 또 우상과 새긴 형상을 예배하는 사람도 있는 여러 사람들의 종교적 형편을 살펴보고 굳이 하나님의 섭리를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

[1] 이러한 사실을 보고 하나님의 섭리에 반대하는 논쟁을 일삼는 사람들은 천국의 신비를 모르는 사람이다. 이 신비는 무수하며 사람은 그중의 하나도 내 것 삼지 못하고 있다. 그중의 하나는 이것이다. 사람은 천국으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지 않고 간접적으로 받는 이것이다 (이것은 위의 154-174참조).

사람은 간접적으로 가르침을 받으며, 복음은 선교사들만을 매개체로 이 세상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미칠 수 없기 때문에, 그러나 종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땅 끝에 사는 사람에게까지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하나님의 섭리에 의해서 이루는 것이다. 왜냐하면 종교적 지식은 그 자신으로부터 사람에게 이르지 아니하고, 반드시 이것을 말씀으로부터 배운 자기 이외의 사람으로부터, 아니면 말씀을 이미 배운 제삼자로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온 것으로, 가령 보기를 들면 하나님이 계시다. 천국과 지옥이 있다. 사후의 생명이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축복을 받기 위해서는 하나님을 예배하여야 한다는 가르침을 거쳐서 들어가기 때문이다.

[2] 성경에 관한 교리 101-103에 있는 종교는 고대 성경말씀으로부터 세상에 널리 전파되었으며, 그 후에는 이스라엘의 성경말씀으로 전파된 것과 그리고 말씀이 없으면 어떠한 사람도 하나님과 천국과 지옥, 사후생명 그리고 무엇보다도 주께 대하여 알 수 없다는 것 (114-118)을 보시라.

종교가 일단 창설되면 주는 그 나라를 그 종교의 교훈과 교리에 따라 인도하시고, 또 모든 종교에는 하나님을 예배해야 하며. 그 이름을 더럽히지 말고, 거룩한 날을 지키고, 부모를 공경하며 살인, 간음 및 도적질을 하지 말고 거짓증거를 하지 말라는 십계명에 있는 것과 같은 교훈이 들도록 배려하신다. 이러한 교훈을 거룩한 것으로 보고 종교의 이름으로 그대로 사는 나라는 구원을 얻는다는 것은 방금 말한 바 (253)와 같다.

기독교로부터 먼 대부분의 나라들은 이 율법을 시민법으로 보지 아니하고 신성한 율법으로 거룩하게 본다. 처음부터 끝까지 사람은 이 교훈대로의 생활로 구원을 얻는다는 십계의 교훈에 근거한 <삶에 관한 교리>를 보시기 바랍니다.

[3] 또 천국의 신비 가운데는 이것이 있다. 천사의 천국은 주님 보시기에 그의 얼과 생명이 주이신 한 사람같이 보인다.

이 신성한 사람 (천사의 천국)은 그의 형상의 지극히 작은 부위까지도 사람이요, 외적으로 사지 (四肢)와 기관뿐만 아니라 더 많은 내적 사지와 기관까지도 있는 사람이요, 피부, 막 (膜), 연골 및 뼈까지도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 사람 안에 있는 이 모든 것은 겉이나 속이나 물질이 아닌 영적인 것이다. 더욱이 주님의 복음은 미칠 수 없으나 어떤 종교의 형태로만 미칠 수 있는 사람들도, 이 신성한 사람 안에서 곧 천국 안에서 피부, 막, 연골 및 뼈라 하는 부위의 이름으로서 한 자리를 차지하며, 여느 사람처럼 천국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배려하신다. 왜냐하면 그들의 기쁨은 삼층 천국천사들의 그것이든지 제일 낮은 천국천사들의 그것이든지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천국에 들어가는 사람은 누구나 다 자기 마음에 드는 최고의 기쁨을 누리게 되며, 자기 마음의 것보다 더한 것은 견디지 못하고 그 안에서 질식할 것이기 때문이다.

[4] 농부와 왕을 비교하면 이 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농부는 순모로 짠 새 양복을 갈아입고 발걸음을 옮겨 포크고기 한 조각, 치즈, 맥주 그리고 화끈한 술 한 잔 있는 상 앞에 홀로 앉아 있으면 최고의 기쁨에 다다를 것이다. 만일 어떤 왕처럼 자색 및 비단에 금빛 은빛 찬란한 옷을 입고, 모든 종류의 산해진미 (山海珍味)에 값있는 술로 차려 있는 탁자 앞에 앉는다면 마음이 어쩐지 어색할 것이다. 이로써 분명한 것은 왕도 농부와 다를 것 없이 그 정도에 따라서 천국의 행복을 발견할 것이요, 기독교 밖의 이방 사람들도 종교에 위배되기 때문에 악을 하나님을 거역하는 죄로 알고 끓으면 천국의 행복을 찾을 것이 분명하다.

[5] 하나님을 전혀 모르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도덕적 생활을 한 사람은 사후에 천사들이 가르쳐 그들의 도덕적 생활 안에 있는 영적인 것을 받는것은 성경에 관한 교리 116에서 볼 수 있다. (The Doctrine of the New Jerusalem Regarding the Sacred Scripture, no.116)

해와 달을 예배한 사람일지라도 하나님이 거기 계시다고 믿은 사람도 같다. 그들은 더 이상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것은 그들에게 죄로 둘러씌울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소경이었다면 (곧 너희가 알지 못하였다면) 죄가 없으려니와" (요한복음 9:41)라고 하신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 안에도 우상과 새긴 형상을 예배하는 사람이 많다. 분명히 이것은 우상숭배인 것이다. 다만 아니지만 새긴 우상이 그들에게 하나님께 대한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역할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나님을 시인하는 사람은 천국으로부터 흐름에 의해서 당신을 뵙기를 원하기 때문이요, 또 이들은 내적으로 영적인 사람처럼 감각 이상으로 마음을 승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새긴 것이나 형상으로 그 마음을 올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지만 그 형상을 하나님으로 예배하지 아니한 사람들은 종교적 원리로 십계의 교훈대로 사는 사람으로 구원을 얻는 것이다.

[6] 또 주는 모든 사람의 구원을 원하시기 때문에 착하게 산 사람은 누구나 천국의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배려하신다.

1758년 런던판 천국과 지옥 59-102 및 <천국의 신비> (5552-5569) 및 위 (201-204)에 있는 천국은 주님 보시기에 한 사람 같은 것, 천국은 이에 따라서 사람 안에 있는 갖가지 것과 모든 것에 상응하는 것, 그리고 피부, 막, 연골 및 뼈를 표상하는 사람도 있는 것을 참조하자.

  
/ 340  
  

주소 : 서울시 은평구 은평로 21길 31-12 (녹번동 75-21) 서울새교회 주문 : 02-389-1366 (교회) , 010-3687-1050 (양규대) 서적담당 : 010-5755-8765 (김승길) 인터넷 : www.newchurch.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