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창세기 41

공부

   

1 만 이년 후에 바로가 꿈을 꾼즉 자기가 하숫가에 섰는데

2 보니 아름답고 살진 일곱 암소가 하수에서 올라와 갈밭에서 뜯어먹고

3 그 뒤에 또 흉악하고 파리한 다른 일곱 암소가 하수에서 올라와 그 소와 함께 하숫가에 섰더니

4 그 흉악하고 파리한 소가 그 아름답고 살진 일곱 소를 먹은지라 바로가 곧 깨었다가

5 다시 잠이 들어 꿈을 꾸니 한 줄기에 무성하고 충실한 일곱 이삭이 나오고

6 그 후에 또 세약하고 동풍에 마른 일곱 이삭이 나오더니

7 그 세약한 일곱 이삭이 무성하고 충실한 일곱 이삭을 삼킨지라 바로가 깬즉 꿈이라

8 아침에 그 마음이 번민하여 보내어 애굽의 술객과 박사를 모두 불러 그들에게 그 꿈을 고하였으나 그것을 바로에게 해석하는 자가 없었더라

9 술 맡은 관원장이 바로에게 고하여 가로되 `내가 오늘날 나의 허물을 추억하나이다

10 바로께서 종들에게 노하사 나와 떡 굽는 관원장을 시위대장의 집에 가두셨을 때에

11 나와 그가 하룻밤에 꿈을 꾼즉 각기 징조가 있는 꿈이라

12 그 곳에 시위대장의 종된 히브리 소년이 우리와 함께 있기로 우리가 그에게 고하매 그가 우리의 꿈을 풀되 그 꿈대로 각인에게 해석하더니

13 그 해석 한대로 되어 나는 복직하고 그는 매여 달렸나이다'

14 이에 바로가 보내어 요셉을 부르매 그들이 급히 그를 옥에서 낸지라 요셉이 곧 수염을 깎고 그 옷을 갈아 입고 바로에게 들어오니

15 바로가 요셉에게 이르되 `내가 한 꿈을 꾸었으나 그것을 해석하는 자가 없더니 들은즉 너는 꿈을 들으면 능히 푼다더라`

16 요셉이 바로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이는 내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바로에게 평안한 대답을 하시리이다'

17 바로가 요셉에게 이르되 `내가 꿈에 하숫가에 서서

18 보니 살지고 아름다운 일곱 암소가 하숫가에 올라와 갈밭에서 뜯어 먹고

19 그 뒤에 또 약하고 심히 흉악하고 파리한 일곱 암소가 올라오니 그같이 흉악한 것들은 애굽 땅에서 내가 아직 보지 못한 것이라

20 그 파리하고 흉악한 소가 처음의 일곱 살진 소를 먹었으며

21 먹었으나 먹은듯하지 아니하여 여전히 흉악하더라 내가 곧 깨었다가

22 다시 꿈에 보니 한 줄기에 무성하고 충실한 일곱 이삭이 나오고

23 그 후에 또 세약하고 동풍에 마른 일곱 이삭이 나더니

24 그 세약한 이삭이 좋은 일곱 이삭을 삼키더라 내가 그 꿈을 술객에게 말하였으나 그것을 내게 보이는 자가 없느니라'

25 요셉이 바로에게 고하되 `바로의 꿈은 하나이라 하나님이 그 하실 일을 바로에게 보이심이니이다

26 일곱 좋은 암소는 일곱해요, 일곱 좋은 이삭도 일곱해니, 그 꿈은 하나이라

27 그 후에 올라온 파리하고 흉악한 일곱 소는 칠년이요, 동풍에 말라 속이 빈 일곱 이삭도 일곱해 흉년이니

28 내가 바로에게 고하기를 하나님이 그 하실 일로 바로에게 보이신다 함이 이것이라

29 온 애굽 땅에 일곱해 큰 풍년이 있겠고

30 후에 일곱해 흉년이 들므로 애굽 땅에 있던 풍년을 다 잊어버리게 되고 이 땅이 기근으로 멸망되리니

31 후에 든 그 흉년이 너무 심하므로 이전 풍년을 이 땅에서 기억하지 못하게 되리이다

32 바로께서 꿈을 두번 겹쳐 꾸신 것은 하나님이 이 일을 정하셨음이라 속히 행하시리니

33 이제 바로께서는 명철하고 지혜있는 사람을 택하여 애굽 땅을 치리하게 하시고

34 바로께서는 또 이같이 행하사 국중에 여러 관리를 두어 그 일곱해 풍년에 애굽 땅의 오분의 일을 거두되

35 그 관리로 장차 올 풍년의 모든 곡물을 거두고 그 곡물을 바로의 손에 돌려 양식을 위하여 각 성에 적치하게 하소서

36 이와 같이 그 곡물을 이 땅에 저장하여 애굽 땅에 임할 일곱해 흉년을 예비하시면 땅이 이 흉년을 인하여 멸망치 아니하리이다'

37 바로와 그 모든 신하가 이 일을 좋게 여긴지라

38 바로가 그 신하들에게 이르되 `이와 같이 하나님의 신이 감동한 사람을 우리가 어찌 얻을 수 있으리요' 하고

39 요셉에게 이르되 `하나님이 이 모든 것을 네게 보이셨으니 너와 같이 명철하고 지혜있는 자가 없도다

40 너는 내 집을 치리하라 내 백성이 다 네 명을 복종하리니 나는 너보다 높음이 보좌 뿐이니라'

41 바로가 또 요셉에게 이르되 `내가 너로 애굽 온 땅을 총리하게 하노라' 하고

42 자기의 인장 반지를 빼어 요셉의 손에 끼우고 그에게 세마포 옷을 입히고 금사슬을 목에 걸고

43 자기에게 있는 버금 수레에 그를 태우매 무리가 그 앞에서 소리 지르기를 `엎드리라' 하더라 바로가 그로 애굽 전국을 총리하게 하였더라

44 바로가 요셉에게 이르되 `나는 바로라 애굽 온 땅에서 네 허락없이는 수족을 놀릴 자가 없으리라' 하고

45 그가 요셉의 이름을 사브낫바네아라 하고 또 온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을 그에게 주어 아내를 삼게 하니라 요셉이 나가 애굽 온 땅을 순찰하니라

46 요셉이 애굽 왕 바로 앞에 설 때에 삼십세라 그가 바로 앞을 떠나 애굽 온 땅을 순찰하니

47 일곱해 풍년에 토지 소출이 심히 많은지라

48 요셉이 애굽 땅에 있는 그 칠년 곡물을 거두어 각 성에 저축하되 각 성주위의 밭의 곡물을 그 성중에 저장하매

49 저장한 곡식이 바다 모래같이 심히 많아 세기를 그쳤으니 그 수가 한이 없음이었더라

50 흉년이 들기 전에 요셉에게 두 아들을 낳되 곧 온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이 그에게 낳은지라

51 요셉이 그 장자의 이름을 므낫세라 하였으니 `하나님이 나로 나의 모든 고난과 나의 아비의 온 집 일을 잊어버리게 하셨다' 함이요

52 차자의 이름을 에브라임이라 하였으니 `하나님이 나로 나의 수고한 땅에서 창성하게 하셨다' 함이었더라

53 애굽 땅에 일곱해 풍년이 그치고

54 요셉의 말과 같이 일곱해 흉년이 들기 시작하매 각국에는 기근이 있으나 애굽 온 땅에는 식물이 있더니

55 애굽 온 땅이 주리매 백성이 바로에게 부르짖어 양식을 구하는지라 바로가 애굽 모든 백성에게 이르되 `요셉에게 가서 그가 너희에게 이르는 대로 하라' 하니라

56 온 지면에 기근이 있으매 요셉이 모든 창고를 열고 애굽 백성에게 팔새 애굽 땅에 기근이 심하며

57 각국 백성도 양식을 사려고 애굽으로 들어와 요셉에게 이르렀으니 기근이 온 세상에 심함이었더라

   

스웨덴보그의 저서에서

 

Arcana Coelestia #5356

해당 구절 연구하기

  
/ 10837  
  

5356. 'In the land of my affliction' means where the temptations were undergone. This is clear from the meaning of 'the land', in this case the land of Egypt, as the natural, dealt with in 5276, 5278, 5280, 5288, 5301; and from the meaning of 'affliction' as temptation, dealt with in 1846. From these meanings it is evident that 'in the land of my affliction' means in the natural where the temptations were undergone and therefore the place where truth from good was multiplied. Since that fruitfulness, or multiplication of truth from good, is brought about primarily by means of temptations, such words have therefore been used here. The reason why fruitfulness is brought about primarily by means of temptations is that temptations take away self-love and love of the world, and so evils too; and once these have been taken away, an affection for goodness and truth from the Lord flows in, see just above in 5354.

[2] Another thing temptations do is to provide a person with the kind of discernment he has about what is good and true; they provide it through the opposites that evil spirits introduce at such times. From his discernment of those opposites a person can make comparisons which enable him to see what the whole is like. For no one can know what good is unless he also knows what is not good; and he does not know what truth is unless he knows what is not true. Also, temptations serve to strengthen goods and truths; for in temptations a person battles against evils and falsities, and through being victorious in such he goes on to hold on more firmly to those goods and truths. In addition to this temptations also serve to subdue evils and falsities so completely that they do not dare to rise up again. Thus temptations serve to cast evils and falsities away to the fringes, where they hang downwards, in a limp condition. But forms of good together with truths are in the centre, and in the measure that the zeal of genuine affection is present they are raised upwards - up to heaven, towards the Lord who does the raising up.

  
/ 10837  
  

Thanks to the Swedenborg Society for the permission to use this translation.

스웨덴보그의 저서에서

 

Arcana Coelestia #3576

해당 구절 연구하기

  
/ 10837  
  

3576. 'And he blessed him' means conjunction thereby. This is clear from the meaning of 'being blessed' as conjunction, dealt with in 3504, 3514, 3530, 3565. From these details which refer to Esau and Jacob it becomes clear that the good of the rational joined itself inmostly to the good of the natural, and then through the good of the natural to the truth there. For 'Isaac' represents the rational as regards good, 'Rebekah' the rational as regards truth, while 'Esau' represents the good of the natural and 'Jacob' the truth of the natural. The idea that the rational as regards good, which is 'Isaac', joined itself inmostly to the good of the natural, which is 'Esau', but not to the truth of the natural, which is 'Jacob', except indirectly, is evident from the consideration that Isaac had Esau in mind when pronouncing the blessing on Jacob. At that time he was not thinking of Jacob but of Esau. When anyone pronounces a blessing he is blessing the person of whom he is thinking, not someone of whom he is not thinking. All blessing comes forth from something interior, for though pronounced with the lips it receives its life from the will and the thought of the person pronouncing it. It belongs essentially therefore to the individual to whom he wishes to impart it and of whom he is thinking. If anyone intercepts it and so makes it his own it is like something stolen which ought to be restored to the other person. The fact that Isaac, when pronouncing the blessing, was thinking of Esau and not of Jacob becomes clear from every single detail that goes before this - from verses 18-19, where Isaac said to Jacob,

Who are you, my son? And Jacob said to his father, I am Esau your firstborn.

Then from verses 21-23,

Isaac said to Jacob, Come near now, and I will feel you, my son, whether you are my son Esau, or not.

And after feeling him he said, The voice is Jacob's voice, and the hands Esau's hands; and he did not recognize him.

Also from verse 24,

And he said. Are you my very son Esau? And he said, I am.

And at length, when kissing him,

He smelled the odour of his clothes.

That is to say, he smelled Esau's clothes, at which point he blessed him and said,

See, the odour of my son.

From all this it is clear that by the son whom he blessed he meant none other than Esau. This also was why when he heard from Esau that it had been Jacob,

Isaac trembled very greatly. Verse 33.

And he said, Your brother came in deceitfully. Verse 35.

The reason why Jacob retained the blessing however, according to what is said in verses 33-37, was that truth represented by 'Jacob' wou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ime apparently have dominion, as shown frequently above.

[2] But once the time of reformation and regeneration is completed good itself which has been Lying hidden in the inmost parts and from there has been disposing every single thing which seemed to be a matter of truth, that is, which truth had ascribed to itself, comes to the fore and openly has dominion. And this is what Isaac's words addressed to Esau mean,

By your sword you will live, and you will serve your brother. And it will be when you have dominion over him, that you will break his yoke from above your neck, Verse 40.

The internal sense of these words is that all the time truth is joined to good, good appears to be in the lower position but will eventually be in the higher. At this point there will be a joining together of the rational with the good of the natural, and through the good of the natural with the truth. Truth will thus become the truth of good. In this case 'Esau' will consequently represent the good itself of the natural and 'Jacob' the truth of the natural, both joined to the rational. Accordingly in the highest sense they will represent the Lord's Divine Natural - 'Esau' as regards the Divine Good there and 'Jacob' as regards the Divine Truth.

  
/ 10837  
  

Thanks to the Swedenborg Society for the permission to use this translation.